오늘은 이메일이나 자주 사용하는 아이디 생성할 때 의미부여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저의 이야기로 예를 들면 어떤 글을 통해 이메일이나 아이디에도 의미가 있으면 비슷한 스펙의 이력서라도 면접관 입장에서 다르게 받아들인다는 내용을 접하고 바로 새로 만들었습니다.
저의 아이디 작명을 예로 들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자주 쓰는 아이디는 thin_king 입니다.
어떤 의미일까요?
대부분은 '아 뭐 생각하는 거에 대한 의미를 부여한 아이디인가 보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냥 일반적으로는 thinking = 생각, 생각하는 이런 의미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사이에 _ 언더바를 넣은 이유는 의미부여를 하기 위함입니다. thinking을 언더 바로 두 가지로 갈라놓은 것은 king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이죠.
thin_king = 무언가 생각을 하고 계속 창의적인 생각을 한다면 언젠가 "생각의 왕" 이 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싶었다.
그래서 thin_king입니다.
어떻게 보면 오글거리기도 하고, 낯간지러울수도 있지만, 분명한 것은 이메일과 아이디에 의미를 부여하며 블로그나 카페 등에서 활동을 할 때에도 나를 대신해서 나타내 주는 닉네임이 때문에 신중하게 작명을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보게 되는 여러분도 어차피 쓰는 아이디 혹은 이메일에 의미가 있는 것이라면 더 좋은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제로 이력서를 넣고 면접을 보는 상황에서 대다수의 면접관들은 이메일을 보고 무슨 뜻인지 물어본 면접관들도 꽤 있었으며, 물어보지 않았다면 해당 내용을 자연스럽게 나의 자소서에 녹여 조금의 어필을 하였었습니다.
분명한 것은 이런 의미부여가 내가 하고자 하는 직종, 직업에 관련이 되어있다면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글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를 눌러주세요!
[공모전을 이용한 아이디어 도전] 4. 공모전준비? 어떻게 방향을 잡냐가 결과를 바꾼다. (0) | 2020.08.02 |
---|---|
[아이디어 설계 이야기] 3. 성공하는 사업아이템 찾는 5가지 방법 (0) | 2020.08.02 |
[아이디어 설계 이야기] 2. 나만의 아이디어 구체화 과정 (0) | 2020.08.02 |
[아이디어 설계 이야기] 1. 작은 아이디어에서 특허 등록까지 (0) | 2020.08.02 |
[아이디어 설계 이야기] 나의 작은 생각 이야기 (0) | 2020.08.02 |